4월 4일 尹 탄핵 선고일…‘死월 死일’이 부른 기각· 인용 논쟁
4월 4일 尹 탄핵 선고일…‘死월 死일’이 부른 기각· 인용 논쟁
  • JBC까
  • 승인 2025.0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4일 오전 11시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두고, 정치권은 물론 역학(易學)주술(呪術) 분야에서도 의미심장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44일이 지닌 이중 사()’의 상징성과, 11시가 一十一()’을 형상화한다는 점이 맞물려 왕의 종말이냐 왕을 죽이려는 역모의 날이냐를 두고 설왕설래가 벌어진 것이다. 윤 대통령은 1960(경자년, 庚子年) 1218(양력) 생이다. 사주상 강점(·수 기운)4월 초 봄철 목() 에너지가 만나는 시점이기에, 극단적 갈등 속에서도 새로운 전환이 가능하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11의 상징성

우선 44일은 숫자 ‘4’가 한자 ()’와 발음이 같아 동아시아 전통에서 기피하는 날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11시는 한자로 풀면 一十一, 이를 세로로 배치할 경우 ()’ 자를 떠올릴 수 있다. 야권 일각에서는 이를 왕의 죽음을 상징하는 시점으로 해석해 정치적 종말론을 부각하는 반면, 또 다른 쪽에서는 시해()를 시도하는 세력의 존재에 초점을 맞춰 역모의 날로 읽는다.

‘4+4=8’과 국운 분기점

44일을 두고 돌고 있는 “4+4=8” 역시 역학적 관심을 끈다. 전통 음양오행에서 8()은 완성 또는 재편을 의미해,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분기점으로 자주 인용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80 인용설등 괴담에 가까운 시나리오가 퍼질 정도로, 이번 선고가 가져올 파장에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일부 역술가들은 ()의 기운이 거듭된 뒤엔 오히려 재생과 새로운 질서가 나타나기도 한다며 위기가 곧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헌재·정치권 압박의 역학적 의미

헌법재판소 내에서는 보수 성향 재판관 3인이 결정을 미루려 했으나, 주심 재판관이 시점을 44일로 조율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의 쌍탄핵추진, 임기연장법 발의 등 정치적 압박이 더해지면서 더 이상 선고를 늦추기 어렵게 됐다는 후문이다. 역학적으로 보면, 거대한 무()의 기운이 충돌하면서 국가가 흉사(凶事)와 변국(變局)을 동시에 맞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파멸이냐, 재탄생이냐양극의 갈림길

중도 성향 인사들은 이번 선고가 단순 법적 판결을 넘어 대한민국 국운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로 대변되는 음습한 상징과, ‘()’을 암시하는 시점의 부조화 속에서 국가는 파멸이냐, 재탄생이냐라는 양극단의 문턱에 서 있다는 것이다.

마틴 루서 킹 암살44일 관련 주목 사례

44일을 전후로 한 역사적 사건 중에는, 국가적 비극이나 사회 혼란을 야기한 사례들이 적지 않다.

마틴 루서 킹 암살(1968), 파키스탄 부토 처형(1979), 시리아 화학무기 공격(2017) 등은 해당 국가와 국제사회에 커다란 충격파를 일으킨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한편으론 194944: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창설과 세계IT혁명을 가져다 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창립이 44일이다.

44일이라는 날짜 자체가 가져다준 불길함44일이 인류에 기여했다는 날이다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4월 초는 봄의 시작과 동시에 여러 나라에서 중대 분쟁이나 격변이 일어난 사례가 많다는 점에서, 이 시기를 국운(國運)의 갈림길혹은 정치 사회적 격변의 계절로 인식하는 시각도 없지않다.

이에 따라 44일이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예측은 역학계뿐 아니라 정치권 안팎에서도 공통적으로 나오고 있다. ‘죽음이 결합된 이 상징적 시간대가 과연 어떤 미래를 열지, 전 국민의 시선이 헌법재판소로 쏠리고 있다.

 

JBC뉴스는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진실과 정의를 지향합니다.
JBC뉴스 주인은 자유대한민국 국민 입니다.
여러분들의 자발적 구독과 후원은 뉴스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입금 전용 계좌 국민은행 928-701-01-192182